DevOps4 [Jenkins] Nginx 무중단 배포 환경 설정 (2/3) - Nginx 설치 및 conf 설정 젠킨스 설치가 완료됐다면, 젠킨스에서 배포할 서버(cloud 서버)에 웹서버를 설치해 줍니다.Blue/Green 방식으로 배포해야 하기 때문에 8081, 8082 포트를 사용합니다.이미 포트를 사용하고 있다면 다른 포트를 써도 상관없습니다.포트 열려있는지 확인은 netstat -lntp | grep 80로 조회해 볼 수 있습니다. - Nginx 설치 sudo yum install epel-release -ysudo yum install nginx -y웹서버 설치는 아주 간단한데 위 코드만 입력하면 됩니다.sudo systemctl enable nginxsudo systemctl start nginxsudo systemctl status nginx엔진엑스를 시작해 주고 상태확인을 하면 Active:acti.. 2025. 9. 18. [Jenkins] Nginx 무중단 배포 환경 설정 (1/3) - Docker 위에 젠킨스 설치 (Ubuntu) 젠킨스를 처음부터 설정해야 해서 하는 김에 무중단 배포가능하게 해보려고 합니다.기존에는 Jendkins Job도 하나로 통일했는데 그러면 build 하다가 에러 났을 때 서버도 같이 내려가기 때문에 나눴습니다.무중단배포하려면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이번에는 Blue/Green 방식으로 진행합니다.Blue/Green 방식을 간단히 말하면, 기존에 A서버가 실행하고 있으면 새로운 B서버를 띄우고 A서버를 내리면 됩니다.그러면 서버 중단없이 배포가 가능합니다. 저는 서버가 한대라서 포트로 나눌 예정입니다.서버: local서버 (Docker, Jenkins), cloud서버 (Nginx)Jenkins Job: Build, Deploy - Docker 설치1. 기존 도커 제거 (혹시 깔려있다면)sudo apt.. 2025. 9. 17. [Jenkins] Maven 프로젝트 Job 설정 - github 젠킨스를 이용하여 프로젝트 배포를 자동화하는 방법입니다.먼저, Dashboard에서 좌측 메뉴에 새로운 Item을 선택합니다.아래와 같이 화면이 뜨면, 프로젝트 이름 입력 후 Freestyle project를 선택해줍니다.[General]설명란에 프로젝트에 관한 내용을 간단하게 입력 후하단의 체크박스는 'GitHub project'와 '오래된 빌드 삭제'를 선택해줍니다.GitHub project의 Project url 에는 해당 프로젝트의 web url을 입력하면 됩니다.오래된 빌드 삭제에서는 보관할 기간, 최대 개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소스 코드 관리]Git으로 소스코드를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Git을 선택합니다.Repository URL과 Credentials를 작성해줍니다. Credential.. 2022. 5. 16. [Jenkins] 젠킨스 윈도우 서버 설치 윈도우 서버에서 젠킨스 설치 방법입니다. https://jenkins.io/download/ Jenkins download and deploymentJenkins – an open source automation server which enables developers around the world to reliably build, test, and deploy their softwarewww.jenkins.io먼저 위의 링크로 가서 젠킨스를 다운 받습니다 다운받은 파일을 실행합니다. 다운받을 위치를 지정해준 후 다음버튼을 눌러줍니다. 포트설정은 8080번이 이미 사용중이라 9000번으로 설정했습니다. 그리고 jdk 경로 입력 후 다음버튼을 눌러줍니다. jdk 설치 안돼있을 경우 아래 링크를 통해 .. 2021. 2. 24. 이전 1 다음